스킵네비게이션

학과소개 열린 미래 꿈이있는 대학, 동아대학교

학과발전계획

건설시스템공학과 발전 계획

01

Vision

부울경 최상위 수준의 교육과 산학 협력체계를 가진 건설환경 분야 학과 육성

02

외부 환경 분석

  • 전통적인 건설산업에서 Data-Driven Engineering 중심의 스마트 건설, 스마트 시티 중심의 건설 산업으로 발전 중
    • 4차 산업혁명, 글로벌화, 초고령 사회 진입 등으로 미래 건설 인력 시장에 큰 변화가 예상됨
    • 인공지능, 빅데이터, 사물인터넷과 같은 디지털 기술 등 타 산업분야로 확장된 기술 영역과 비즈니스를 수행할 수 있는 건설 인재 요구
    • 이에 따라 기존의 필수적인 전공지식과 더불어 최근 전사회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스마트 건설 기술에 대한 교육 요구 증대
    • 향후 5-10년 이내에 건설 산업계에서 스마트 건설 기술은 기획, 설계, 시공, 유지관리에 이르는 사회기반시설의 생애주기 전체에 모두 광범위하게 적용될 것으로 예상
    • 2D, 3D, nD로 설계기술 발전 : ICT기술과의 인터페이스 기술 필요, 데이터 기반 엔지니어링화
  • ESG(기후환경 변화대응, 건설안전) 중심의 기업경영 강화
    • ESG : Environmental(환경), Social(사회), Governance(지배구조)의 앞글자를 딴 약자로, 기업의 비(非)재무적 성과를 판단하는 기준을 의미. 좋은 일을 해야 한다는 당위가 아니라 ESG를 추구함으로써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개선한다는 실증론적 기준으로 2005년 처음 등장함
    • 2018년부터는 ESG 활동을 하는 기업에만 투자하는 ‘ESG 투자’가 전체 운용자산의 20~40%를 차지하는 일이 벌어짐. 전 세계 ESG 투자 규모는 40조 5,000억 달러(4경 4,400조 원)으로, 2018년 30조 6,800억 달러(3경 3,600조 원)와 비교하면 1년 반 만에 31% 증가(글로벌지속가능투자연합 GSIA, Global Sustainable Investment Alliance)
    • 전 국내외 기업들도 앞다퉈 ESG 경영을 수행 중
      * 마이크로소프트(Microsoft, 이하 MS)는 10억 달러의 ‘기후 혁신 펀드(Climate Innovation Fund)’를 조성해 향후 4년간 탄소 제거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있음
      * 국내 대표 건설사인 현대건설도, 기후변화 대응전략·온실가스 감축노력·온실가스 관리 등 영역에서 ESG 경영에 힘을 쏟고 있음
  • 노후 인프라에 대한 선제적 유지관리 수요확대 예상
    •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준공된 지 30년 이상 지난 1·2종 기반 시설물은 5년 후에는 2921개(14.95%)로 증가하고, 10년 뒤에는 4,211개(21.55%)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
    • 공공발주 감소로 경영난을 겪고 있던 토목 엔지니어링 기업들도 노후 인프라 관련 시장이 건설업계의 새로운 산업분야로 자리 잡을 것으로 전망하며 이에 대한 대응 준비
    • 서울시는 기존에 건설된 사회기반시설의 급속한 노후화에 따라 2030년까지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기술 등을 활용하여 예방보수에 기반을 둔 선제적 유지관리를 통해 8,287억원(약 34%)의 예산 절감을 위한 로드맵 및 관련 조례제정
    • 마찬가지로 국내 제2의 메가시티인 부울경 지역도 사회기반시설의 급속한 노후화가 지역 건설 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되고 향후 5년 내에 서울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선제적 유지관리에 대한 수요 발생 예상 (조례 제정 가능성 높음)
    • 건설 BIM (Building Information Modeling) 기술이 예전 오토캐드와 같이 시장 변화자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어 이에 대한 모든 건설시장 참여자들의 사업방법이 변화하고 있음
    • 이러한 건설산업의 경제 사회적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 필요
  • 우리 학과의 공학교육 이수체계 : 필요한 지식과 역량의 변화 반영 안되는 한계 존재
03

목표 설정

  • 스마트 건설기술 전문인재 양성
  • 부울경 최고의 산학연구 협력 체계 구축
  • ESG(기후환경 변화대응, 건설안전)에 공헌할 수 있는 전문인재 양성
04

추진 전략 및 방법

1.스마트 건설기술 전문인재 양성
  • 설계 교과목의 디지털 전환
    • 디지털 트윈 (교량설계)
      • 파라메트릭 모델링을 이용한 3차원 교량설계기법 이해
      • 교량형식에 따른 디지털 트윈 모델 생성
      • 증강현실기술을 활용한 교량 설계 모형 설계
    • 상수도 및 하수도공학
      • 상수도공학에 관망설계 프로그램 소개 및 실습 도입 (EPAnet)
      • 하수도공학에 기본적인 설계 프로그램, 수치해석 프로그램 소개 및 활용 (Octave)
    • 토질 및 기초공학
      • 현장 지반 조사에 대한 전자 센서의 발전 방향 소개
      • 현장 조사 결과의 실시간 디지털 데이터 베이스
      • 현장 시험 데이터의 분석 방향 소개
  • 전산관련 교과목의 고도화
    • 코딩의 기초와 문제 해결
      • 컴퓨터 활용능력 제고와 자격증 취득을 위해 엑셀 교육 지속
      • Arduino를 이용해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하드웨어 콘트롤을 교육
      • Phthon을 이용해 프로그래밍 및 컴퓨터 공학 입문용으로 교육
    • 토목 전산 실무
      •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(BIM) 개론 설명
      • BIM 적용 사례 소개 - 도로, 교량, 안전 분야 적용 등
      • 스마트건설기술 개론 및 활용 사례
  • 관련부처 교육사업 수주
    • 가칭“건설환경 공학분야 데이터 엔지니어 육성사업”추진
      • 국토교통부, 한국연구재단, 부산발전연구원 등 과제 기획 탐색 및 과제화
      • 동남권 최초 건설환경공학분야 지식체계에 데이터과학 방법론 적용
      •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및 엔지니어링 역량 함양
    • 전통 토목공학 엔지니어에서 데이터 엔지니어로 육성을 목표로 추진
2.부울경 최고 수준의 산학연구 협력 체계 구축
  • 동문회 발전방향
    • 동토회 => 부울경 최고의 6,500명 동문 네트웍 활용, 강화
      • 동토회 지회별(서울, 경남, 울산 등) 동문회 활동 및 교류 활성화
      • 신세대 졸업생(젊은 기수) 동문회 참석 활성화 방안 마련
      • 동토회 임원진과 학과교수 모임 정례화로 학과발전 방안 토의
    • 동토인의 날 추진 방안
      • 동토회 선배(임원, 기업 인사담당자 등) 초청 특강에 의한 입사면접 요령 제공
      • 입사 새내기(최근 입사자) 특강으로 재학생 취업정보 제공(공무원, 공기업, 시공사, 중견기업)
      • 재학생 모의 교량경진대회, UCC 경진대회 개최 등
    • 토순이(토목과 여학생) 취업 활성화 방안
      • 동토회 여우회 결성 및 직능별 DB 구축
      • 토순이 선배 취업특강 개최: 여학생들에게 특화된 취업정보 제공(년 2회)
    • 연말 동문회 활용 방안
      • 동토회 회원과 학과교수들 간 정보교류의 장 활성화
      • 학교 및 학과 현황 소개의 장 마련
  • 산학협력 체계 강화
    • 부울경 기반의 공기업과의 MOU 체결 => 공동연구 확대, 취업의 양/질 증가
      • SOC 공기업 정기 초청 세미나 개최 (2회/년)
      • SOC 공기업 현안 이해 및 기술 해결 방안 토론
      • 기술 문제 해결을 위한 중장기 협력과제 추진
3.ESG (기후환경 변화대응, 건설안전) 분야에 공헌할 수 있는 전문인재 양성
  • 교과과정 편성 및 운영
      ESG 관련 신규 교과목 개설
    • 코티칭 교과목으로 구조물 중심의 친환경 및 저탄소 설계 및 시공 학습
    • 생애주기기반 친환경 및 저탄소 엔지니어링 사례 소개
    • 관련분야 전문가 초청 세미나
      안전관련 자격증 취득
    • 건설안전관련 기사 자격증 취득을 통한 취업률 제고 목표
    • 건설안전관련 교과목 개설
    • 학과졸업 기준으로 대체 가능 추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