스킵네비게이션

학사정보 열린 미래 꿈이있는 대학, 동아대학교

학과

우리나라 공학교육의 문제점

  • 산업체의 요구사항
    • 대학졸업자의 실무능력과 창의성이 부족함 → 실무능력 강화의 필요
    • 진정한 의미의 창의성이 함양된 양질의 엔지니어 양성의 필요
  • 공학도(엔지니어) : Technician / Technologist 와 다름
    • 창의성과 실무능력
    • 복합학제적인 팀웍(teamwork) 능력
    • 리더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
  • 개선방안
    • 인증제도 : "순환적 자율 개선형 교육" 모델의 도입
    • 학습성과(outcomes) 기반의 교과과정
    • 설계 및 실무 교육의 강화

공학교육과 공학교육 인증

공학교육인증제란

  • 의미 공학교육에 대한 엄정한 평가를 통해 인증을 부여
  • 도입배경
    • 미국 ABET(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and Technology)의 인증제도를 모델로 함
    • 공학 공동체(산업체, 학회, 대학 및 공학관련 단체)가 연합하여 자발적으로 설립
    • 1999년 한국 공학 인증원 ABEEK(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Education in Korea)이 설립되어 2001년 영남대와 동국대가 시범 인증을 받음
  • 목표
    • 공학 교육 혁신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하고 미래지향적이며 창의적인 공학도의 양성
    • 인증된 프로그램이 전문적이고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사회에 알림

한국공학교육인증원(ABEEK)

공학교육인증의 목적

  • 인증된 프로그램의 졸업생은 공학실무를 담당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보증함
  • 공학 교육에 새롭고 창의적인 방법을 고취함
  • 인증된 프로그램을 사회에 공지함
  • 공학 교육의 발전을 촉진함

ABEEK의 역할

공학교육인증의 특징

기존의 평가와의 차이점

기존의 평가와의 차이점으로 기존평가, ABEEK 인증에 관한 정보제공
기존평가 ABEEK 인증
평가주체 정부기구/위원회
업무적, 권위적
(믿기 어려워 시찰한다)
자발적 민간기구
서비스 차원
(자체평가를 우선적으로 믿는다)
평가성격 평가
일방적
평가자-평가대상 엄격구분
평가와 자문
쌍방적(교류 및 상호평가)
동반자 관계
평가목표 평가에 따라 다름
(지원금 수혜대상 선별)
공학교육 체질 강화
평가결과 평가에 따라 다름(지원금)
서열, 등급 중요
공공 발표
인증
서열화 배제
대외비(당사자, 선업체 제외)
평가기준 정부기구/위원회 도출
특수임무그룹(제한적)
산업체/공학공동체 도출
ABEEK 추진위(개방적)
기존의 평가와의 차이점으로 기존평가, ABEEK 인증에 관한 정보제공
기존평가 ABEEK 인증
평가시기 유효기간 필요시/일시적
평가당시/단기적
(단기적 성과)
상시/지속적
장기적(6년까지?)
(장기적 성과)
평가관점 "여태껏 무엇을 이루었나"
효율성 중시
"앞으로 어떻게 잘 할 것인가"
효과성 중시
평가방법 정량적
(그물 눈금에 맞춰 기계적으로 점수를 써넣는 방식)
정성적
(제반요소를 조화롭게 고려한 미래지향적 결론)
평가대상 교육+연구
교육여건+연구성과
학사과정+대학원과정
교육
교육 프로그램
학사과정
평가내용 지표적인 평가 치중
(무엇을 갖추고 있는가?)
교육내용 평가 치중
(어떤 자질을 교육할 수 있는가?)

세계의 공학교육인증제도

  • 21세기 지식기술 주도 사회에 부응하기 위하여 선진 각국에서는 공학교육의 혁신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교육과정과 교육환경의 개혁 및 내실화를 추진하고 있음
  • 21세기형 공학교육 기반 확립을 위한 공학교육인증제도도 국제적으로 보편화되고 있음
  • 미국의 공학교육인증원 (ABET:The 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and Technology)이 마련한 인증제도가 국제적으로 표준화되고 있는 추세
  • 1989년 미국, 캐나다, 호주, 영국 등 영어권에 속한 8개국이 참여하여 국제협약(Washington Accord)을 맺고 ABET의 인증기준을 만족하는 대학의 졸업생을 우수한 엔지니어로서 상호인정하기로 함
  • 현재 우리나라, 일본, 독일 프랑스 등도 이 협약에 가입하기 위하여 꾸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

공학교육의 국제적 상호인정

  • 국가간 기술자격의 상호인정
    • 기술교육에 관한 상호 등가성(Substantial Equivalence) 보장
      • Washington Accord(WA) : 4년제 공과대학
      • Sydney Accord(SA) : 2년제 공과대학
      • Dublin Accord(DA) : 공업고등학교
    • 국가간 공인된 기술자 자격의 자유로운 교류
      • APEC Engineer
      • Engineers Mobility Forum (EMF)
  • ABEEK의 역할
    • 대외협력부 중심 : 국내 및 국제적인 교류를 통하여 국제적인 상호인정의 기반을 조성하는데 노력

워싱턴 협약 : Washington Accord

  • 공학교육의 국제 상호 인정에 관한 국제 협정
  • 민간대표 기구간의 국제 협약
  • 가입국 ( 8 + 4 )
    • 1989년 : 미국, 영국, 캐나다, 호주, 뉴질랜드, 아일랜드
    • 1995년 : 홍콩
    • 1997년 : 남아공
    • 2001년 : 일본 (Provisional members)
    • 2003년 : 독일, 싱가포르, 말레이시아 (Provisional members)
    • 현재 가입을 추진중인 국가 : 한국, 프랑스, 스리랑카, 방글라데시, 대만, 멕시코, 러시아, 터키, 포르투갈, 스위스, 아랍계국가 등

워싱턴 협약 가입을 위한 대책

  • 가입을 위한 전제 조건
    • 국내의 인증시스템의 구축
    • 국내의 인증평가의 활성화
    • WA 기존 회원국 전원의 동의를 필요
  • 공인원의 가입대책
    • 각 회원국들의 인증기관과 핵심인물을 파악하여 접촉 노력을 진행 중
    • 미국, 호주, 홍콩 등과는 이미 교류 중
    • 뉴질랜드에서의 IEM2003 대회를 통해 이들과의 교류를 시작
    • 가입을 위한 Task Force Team 구성
    • 가입일정 : 2005년 WA 예비회원, 2007년 WA 정식회원

공학교육인증을 취득하면 얻는 혜택

  • 학생들이 얻을 수 있는 혜택
    • 인증 프로그램을 이수한 졸업생은 실무능력을 보증받기 때문에 향후 취업이 쉬워질 것으로 예상
    • 향후 인증제도가 정착되면 우리나라가 워싱톤협약에 가입할 수 있음 → 국내에서 인증 받은 프로그램을 이수한 졸업생은 구미 선진국의 대학졸업생들과 동등하게 실력을 인정받을 수 있게 됨 → 해외유학, 외국기업 취업 및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전문기술자(Professional Engineer) 자격 취득 시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
  • 학교가 얻을 수 있는 혜택
    • 사회적으로 학교의 위상이 높아지고 이로 인하여 우수한 학생을 유치하는 데 큰 기여
  • 산업체가 얻을 수 있는 혜택
    • 산업체가 필요로 하는 능력을 갖춘 우수한 인재를 수급 받게 됨